-
전업 스트리머를 하려면 시청자가 몇 명 정도 있어야 할까?일상 속 PO 2024. 3. 19. 19:02
전업 스트리머를 하려면 시청자가 몇 명 정도 있어야 할까?
팬과 수익 관계, 팬 확보의 중요성
전업 스트리머를 하면 돈을 얼마나 벌 수 있을까요? 전업 스트리머를 할지 말지 결정하려면, 돈을 얼마나 벌 수 있을지 예측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에 기반해 '평균 시청자'와 '수익'간에 관계를 분석하여, 수익을 예측해보려고 합니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이 총 5개의 섹터로 나뉘어있습니다. 결론부터 보고 싶다 싶으신 분들은 3번 항목 부터 보시면 됩니다.
1. 데이터 설명
2. 주당 방송 시간 기준 전업 / 비 전업 구분
3. 소득 수준과 '평균 시청자 수', '방송 시간' 간 상관관계
4. 소득 수준별 평균 시청자 수와 수수료를 고려한 실질 소득
5. 결론
1. 데이터 설명
- 데이터 설명
뷰어십 통계 사이트 예시 데이터
데이터는 7일간* 치지직 플랫폼, 랭킹 1등 ~ 1,000등 스트리머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소스는 뷰어십(스트리밍 방송 통계 사이트), 치즈 투데이라는 사이트입니다. 활용 데이터 항목은 ’ 평균 시청자‘, ’ 방송시간‘, ’ 지난 한 달 치즈 수익’입니다. '평균 시청자'는 시청자가 일시적으로 많은 것보다 일관성이 수익 창출에 중요하다고 봤기 때문에 선택했습니다. 방송 시간은 전업 / 비 전업 구분하는데 쓰기 적절할 것 같습니다.
*3월 11일 월요일 ~ 17일 일요일
2. 주당 방송 시간 기준 전업 / 비 전업 구분
- 주당 25시간 기준으로 전업과 비 전업 구분
방송 시간 통계값
전업과 비 전업을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 전업은 데이터가 들쑥날쑥하며, 주제가 '전업'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방송 시간 분포를 확인해서 보니 하위 25%가 주 25.5시간 이하로 방송했습니다. 주 5일 * 5시간/일 이면 전업이라고 해도 납득이 되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주 25시간 미만 방송한 스트리머 데이터는 전처리하고, 주 25시간 이상 방송한 스트리머에 한정해 데이터를 분석하겠습니다.
3. '평균 시청자', '방송 시간'과 '수익' 상관관계 분석
이제 본격적으로 평균 시청자와 방송 시간이 소득 수준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상관관계가 있어야, 수익을 예측하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균 시청자, 방송 시간과 소득 수준간에 회귀 분석이랑 그래프로 관계를 보겠습니다. 확인하기 전에 예측을 해보다면, 평균 시청자가 많을수록 수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팬의 수가 늘어날 수록 소득 창출 기회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방송 시간은 좀 애매한데, 길다고 해서 소득이 늘어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일 많이 한다고 돈 많이 버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회귀 분석 모델을 해석해야하는데, 귀찮으니 더 똑똑한 chat-gpt한테 맡겨보기로 합니다.
- R- squared
- R-squared 값은 약 0.353으로, 모델이 설명하는 데이터의 분산의 약 35.3%를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모델이 데이터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 F-statistic
- F-statistic 값은 약 205.0으로, 회귀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 값이 높을수록 모델이 데이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P-value:
- 각 계수에 대한 P-value는 계수의 유의성을 나타냅니다. P-value가 낮을수록 해당 계수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평균 시청자**의 P-value는 매우 낮으므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방송시간**의 P-value는 0.072로 유의수준 0.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라고 합니다.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균 시청자 또한 늘어날 수록 수익이 증가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방송 시간은 예측했던 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고 있습니다.
평균 시청자와 소득 수준(수익) 상관관계 주당 방송 시간과 소득 수준 상관관계
전체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를 먼저 확인해 봤는데, 소수의 최상위권 스트리머의 평균 시청자 값이 너무 커서 그래프가 잘 안보였습니다. 따라서 평균 시청자가 1,000명 이하인 경우의 소득 수준 그래프로 대체했습니다. 산점도 그래프를 보니, 각 변수들 간에 관계성이 보입니다. 평균 시청자가 늘어날 수록 수익은 늘어나는 경향성과 관계가 잘 보입니다. 그러나 방송 시간은 크게 관계가 없어보입니다.
4. 소득 구간별 평균 시청자와 수수료를 고려한 실질 소득 추측
이제 소득 수준을 추측해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소득 구간을 나눠보고, 각 구간 별 평균 시청자가 몇 명 정도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구간은 0원 이상 ~ 100만 원 미만, 100만원 이상 ~ 200만 원 미만,... 900만 원 이상 ~ 1,000만 원 미만까지만 확인하겠습니다. 1,000만원 이상부터는 데이터가 소수라 예측 정확도를 담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각 소득 구간('0'은 0원 ~ 100만 원, '9'는 900만 원 ~ 1000만 원) 별로 박스플롯을 보니 대충 경향성은 보이는데, 구체적인 숫자는 알기 힘들어 보이네요. 각 소득 수준 구간별로 평균 시청자의 중앙값(50%)을 구해서 그래프로 확인해 봅시다.
* '5' 구간에서 데이터가 좀 튀는데, 데이터 양이 많지 않아 그렇습니다.
그래프를 보니 평균 시청자가 400명 이상은 되어야 월 500만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보면 '어, 괜찮아 보이네' 싶지만 수수료를 감안하면 조금 이야기가 다른 것 같습니다. 뉴스에 따르면, 치지직은 일반 BJ한테 수수료 40%를 가져간다고 합니다. 500만원 상당의 치즈 수익을 올리면 60%인 300만원이 수익이 되겠습니다. 이 돈은 세금이나 기타 비용 등을 고려하지 않았으니, 순수익은 더 떨어질 것입니다.
5. 결론
이 내용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려보겠습니다.
1. 평균 시청자는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2. 소득 수준을 예측하려면, 평균 시청자(팬)가 몇 명이 되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3. 월 300만 원 이상 벌려면 주 25시간 이상 방송 기준, 치지직 플랫폼의 평균 시청자가 400명 이상이 되는 게 좋다(세금, 비용 고려 X)
이상으로 전업 스트리머를 하려면 팬이 몇 명 정도 되어야 할 수 있을지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어떤 비즈니스든 '팬'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 분석의 한계도 당연히 있습니다. 소득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이 있기 때문에 평균 시청자 외에 다른 요인들도 고려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데이터를 모으고 제공해주신 뷰어십 통계 사이트 제작자 및 투데이치즈 제작자분께 감사드립니다.
'일상 속 PO'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에게 경영진은, 고객이기도 하다 (0) 2024.07.20 Short 역기획 - 인간은 동적인 것에 시선이 간다. (0) 2024.07.04 (동적 가격) 단백질 보충제 절대 월말에 사지 마세요! (0) 2024.06.25 헤어짐을 예측할 수 있는 논리적 행동 (0) 2024.02.14 장원영의 주 팬층은 40대 여성이다. (0) 2024.01.28 - R- squared